top of page

쿡 제도-중국 협정… 뉴질랜드 정부, 뒤통수 맞나?

작성자 사진: WeeklyKoreaWeeklyKorea


1News 보도한에 따르면, 쿡 제도가 중국과 주요 파트너십 협정을 체결할 예정이며, 이는 뉴질랜드 정부의 깊은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움직임은 태평양 전역에서 영향력과 힘을 행사하고자 하는 베이징에 큰 승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쿡 제도와 뉴질랜드 사이의 헌법적 협정을 잠재적으로 위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뉴질랜드 의회(Beehive)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올해 쿡 제도는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으로 자치권을 얻은 지 60주년을 기념한다.



쿡 제도는 뉴질랜드 여권과 시민권의 혜택과 상당한 투자와 지원을 누리면서 별도로 국내외에서 정책과 파트너십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단서가 따른다. 오랜 협정에 따라, 각 국은 국방 및 안보에 관한 모든 문제에 대해 협력하고 협의해야 한다. 그리고 양국은 어느 국가에 대한 위험에 대해서도 서로에게 알려야 한다.


쿡 제도가 중국으로의 태세 전환에 대해 공개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는 것은 뉴질랜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쿡 제도 총리 마크 브라운은 금요일 자국 대표단과 함께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베이징에서 파트너십 협정에 서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브라운 총리는 "우리는 지속 가능한 경제를 보장하고 같은 생각을 가진 국가들과 협력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우리의 번영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뉴질랜드 외무장관 윈스턴 피터스는 합의된 내용이 무엇인지 명확한 내용은 없다고 말했다.


피터스는 "쿡 제도는 스스로 그러한 결정을 내릴 권리가 있다."며, "하지만 우리는 과거의 협정, 헌법적 협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우리와 협의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이러, 그래서 변화가 필요하다면,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우리가 다루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카드를 테이블 위에 올려 놓으라고 덧붙였다.


조회수 543회댓글 0개

Comentarios


Los comentarios se han desactivado.
배너광고모집_490x106.jpg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0130.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