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박테리아가 가득한 설거지용 스펀지… 브러시로 바꿔야 할까?



많은 사람들이 설거지용 스펀지로 설거지를 한다. 하지만 스펀지는 음식물 찌꺼기가 많이 남고 축축해서 박테리아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다. 그렇다면 스펀지 대신 브러시를 써야 할까?


척박한 환경에서도 생존법을 터득한 박테리아가 많다. 땅속 깊은 곳이나 펄펄 끓는 열수구에 서식하는가 하면 어떤 박테리아는 얼어붙은 툰드라에 터를 잡는다. 그런데 만약 박테리아에게 "어디에서 살고 싶은가"라고 물을 수 있다면 아마도 설거지용 스펀지는 꽤 빈도 높은 대답이 될 것이다.


그렇다. 우리가 접시와 컵을 닦을 때 사용하는 바로 그 도구, 스펀지에 미생물이 가득하다는 게 연구로 밝혀졌다. 스펀지가 박테리아의 천국인 셈이다. 따뜻하고 축축하며 미생물이 먹기 좋은 음식물 찌꺼기가 있기 때문이다.


독일 푸르트방엔대학 소속 미생물학자인 마르쿠스 에거트는 2017년 실제 주방에서 사용하던 스펀지를 연구해 박테리아 미생물 생태계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스펀지에서 무려 362종의 미생물을 발견했다. 어떤 부위에서는 박테리아 밀도가 제곱센티미터당 최대 540억 개로 집계되기도 했다.


에거트는 "사람의 대변 샘플과 비슷할 정도로 엄청나게 많은 양의 박테리아"라고 말했다.


스펀지에는 구멍과 주머니가 많다. 이런 틈새를 이용해 미생물 군집이 정착을 하게 된다.


듀크대학에서 합성생물학을 연구하는 링총 유와 그의 연구팀은 2022년 컴퓨터로 스펀지 내부 환경을 재현해냈다. 그리고 스펀지 안에 있는 공간의 크기가 다양할수록 미생물 성장이 더욱 촉진된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이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를 셀룰로오스 화합물 스펀지에서 여러 대장균 균주를 배양하는 연구로도 검증했다.


에거트는 "듀크대학 연구진은 '설거지용 스펀지 내부 구멍의 크기가 다양하다는 조건이 박테리아 성장 촉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연구로 밝혀냈다"고 말했다. "납득이 가는 연구 결과입니다. 미생물 중에는 독립적으로 성장하는 것을 좋아하는 종이 있는가 하면 다른 박테리아와 함께 있어야 하는 종도 있습니다. 스펀지 안에 구조나 틈새가 다양하게 있으면 모든 박테리아가 행복해지는 거죠."


스펀지가 박테리아 번성에 좋은 환경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런 특징을 가진 주방 도구가 반드시 우리 건강을 해친다는 뜻은 아니다. 박테리아는 우리의 피부와 토양, 주변 공기 등 거의 모든 곳에 존재한다. 그리고 모든 박테리아가 해로운 것도 아니다. 실제로 많은 박테리아는 우리의 신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관건은 '스펀지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가 우려할 만한 것인가' 라는 점이다.


설거지용 스펀지에 있는 구멍과 섬유의 닳아버린 부분은 미생물이 숨어들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설거지용 스펀지에 있는 구멍과 섬유의 닳아버린 부분은 미생물이 숨어들어 번식하기에 좋은 환경이다

2017년 에거트의 연구에서, 그는 가장 흔한 박테리아 종의 DNA를 염기서열과 유전적 특징을 분석했다. 발견된 박테리아의 정확한 종을 모두 식별할 수는 없었다. 하지만 가장 많이 발견되는 박테리아 10종 중 5종은 면역 체계가 약한 사람들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박테리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전자레인지로 가열하거나 뜨거운 비눗물로 헹구는 등의 방법으로 일부 박테리아는 제거할 수는 있었지만 이 방법을 쓰면 내성이 강한 다른 균주가 번성할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에거트는 "이와 관련된 우리의 가설은 가열이나 헹구는 방법이 일종의 선택 과정으로 작용해 소수의 생존자가 다시 많은 수로 성장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작업을 몇 번 반복하면 세척 과정에 잘 적응한 박테리아가 생존을 거쳐 번성하는 종으로 선택될 수 있습니다."


에거트가 발견한 박테리아는 식중독이나 심각한 질병과 관련이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식중독 입원 사례의 90%는 단 5가지 병원균으로 압축된다. 그 중 3가지가 대장균과 살모넬라, 캄필로박터다. 다행히도 이런 세균은 설거지용 스펀지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에거트는 "잠재적 병원성을 가진 박테리아가 발견되었지만, 이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나 노약자, 어린이에게만 위험할 수 있는 것들"이라고 말했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설거지용 스펀지 안에 있는 박테리아가 해를 끼치지 않습니다."


미국 프레리 뷰 A&M 대학 식품 안전학 교수인 제니퍼 퀸란과 그의 동료들도 2017년에 필라델피아에 있는 가정 100곳을 선정해 설거지용 스펀지를 수집 분석했다. 그 결과, 그 중 1~2%에서 식중독과 관련된 박테리아가 발견됐다. 그리고 유해한 박테리아가 검출된 스펀지에서도 발견된 박테리아는 소량이었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노르웨이 식품 연구소 '노피마'의 과학자 솔베이그 랑스루드가 설거지용 스펀지와 브러시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를 비교한 2022년 연구로도 뒷받침된다. 그는 두 가지 설거지 도구에서 아시네토박터와 크리세오박테리움, 엔하이드로박터, 장내 세균, 슈도모나스 등 무해한 비병원성 박테리아를 공통적으로 발견했다. 다만 브러시에서는 전반적으로 박테리아가 훨씬 적게 발견됐다.


퀸란은 "스펀지에 있는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질병을 일으키는 게 아니라 단지 냄새를 나게 만들 뿐"이라며 "시간이 지날수록 불쾌감을 주는 것들"이라고 말했다. "그렇긴 하지만 스펀지로 생고기나 생닭을 닦을 경우 병원성 박테리아가 옮겨올 가능성이 있고 이러한 병원균이 설거지용 스펀지에서 독립적으로 생존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스펀지에서 번성하는 박테리아는 해롭지 않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살모넬라균과 같은 위험한 박테리아가 스펀지에 묻게 되면 스펀지의 구조는 이 병원균이 자라기에 이상적인 장소가 된다.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도 있다. 랑스루드의 연구에서 연구진이 설거지용 스펀지에 살모넬라균을 이식했을 때는 살모넬라 균이 번성했다. 하지만 브러시에 이를 이식했을 때는 균이 죽었다. 브러시는 한 번 사용한 후 보다 잘 건조가 되다 보니 살모넬라균을 죽일 수 있다. 반면 스펀지는 매일 사용하는 경우 내부가 축축한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에서 박테리아 번성 가능성도 달라지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잠재적 병원성 박테리아는 스펀지에서 접시나 식기 또는 표면으로 옮겨질 수도 있다.


주방용 스펀지는 얼마나 자주 교체해야 할까? 퀸란은 위생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일주일에 한 번씩 교체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스펀지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브러시로 설거지를 하는 것이 더 빨리 마르고 미생물 번식 가능성이 적어, 보다 위생적일 수 있다
브러시로 설거지를 하는 것이 더 빨리 마르고 미생물 번식 가능성이 적어, 보다 위생적일 수 있다

"설거지용 스펀지를 쉽게 세척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저녁 설거지가 끝나면 식기 세척기에 넣거나 수증기가 나올 때까지 전자레인지에 1분간 돌리는 겁니다. 그러면 대부분의 병원균이 죽습니다."


연구로도 스펀지를 식기세척기나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박테리아를 줄일 수 있고 이 방법이 스펀지를 표백제에 담그는 것보다 더 효과적인 것이 확인됐다. 하지만 에거트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듯 이렇게 하면 내성이 강한 균주가 선택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스펀지를 끓는 물과 소독제에 넣으면 대부분의 박테리아가 죽는다. 하지만 일부 박테리아, 특히 끈적끈적한 보호 생물막을 형성하는 박테리아는 살아남을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방법은 살모넬라균과 같은 잠재적 병원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또 다른 관리 방법으로는 스펀지를 싱크대에 보관하지 말고 사용한 다음에 물기를 꼭 짜서 말리고 음식 찌꺼기를 제거해주는 것이다. 하지만 아예 설거지 도구를 바꾸라는 이들도 있다.


에거트는 "나는 설거지용 스펀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며 "주방 환경에서 그런 물건을 사용하는 것은 사실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박테리아가 적고 더 쉽게 마르는 브러시가 훨씬 더 좋습니다. 세척하기도 더 쉽고요." BBC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재외선거.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4.9.03.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